자동차세 신용카드 납부 방법 (포인트 적립, 무이자 등)
- 부동산/부동산 공부
- 2022. 1. 15.
자동차세 납부 시 할인 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매년 1월 자동차세 연납신청을 하면 약 10%의 자동차세를 할인 받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신용카드 포인트로 지방세를 납부하는 방법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동차세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및 카드사 이벤트 참여도 가능합니다.
자동차세 납부 대상
자동차세 납부 달은 6월과 12월입니다. 따라서 자동차세 납부 대상자는 6월 1일과 12월 1일자로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이 됩니다. 여기서 자동차란 자동차관리법에 의해 등록 신고된 차량과 건설기계관리법의 규정에 의해 등록된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을 말합니다. 자동차세 과세표준은 자동차의 배기량과 승차정권, 적재정량이 됩니다.
- 납세의무자 : 6/1 자동차 소유자, 12/1 자동차 소유자
- 납부일 : 1기 (6/1~6/30), 2기(12/1~12/31)
▶ 자동차 세금표
영업용 | 비영업용 | ||
배기량 | CC당 세액 | 배기량 | CC당 세액 |
1000CC 이하 | 18원 | 1000CC 이하 | 80원 |
1600CC 이하 | 18원 | 1600CC 이하 | 140원 |
2000CC 이하 | 19원 | 1600CC 초과 | 200원 |
2500CC 이하 | 19원 | - | |
2500CC 초과 | 24원 | - |
▶ 위택스 자동차세율 조회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특수자동차, 삼륜이하 소형 자동차)
자동차세 연납신청기간
자동차세 연납 신청이란? 자동차 연세액을 한번에 납부하는 경우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말하며 연납신청 시 최대 10%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분기 1회 연납신청을 할 수 있고 뒤로갈수록 공제율을 낮아집니다.
연납 신청월 | 연납 신청기간 | 공제율 |
1월 | 1/16~1/31까지 | 9.15% |
3월 | 3/16~1/31까지 | 7.5% |
6월 | 6/16~1/30까지 | 5% |
9월 | 9/16~1/30까지 | 2.5% |
▶ 연납신청시간
연납 신청기간내 접수시간은 평일 오전 7시~오후 10시까지이며, 토요일은 오전 7시~오후 3시까지 접수가 가능합니다. 접수 마감일에는 접수시간이 오전 7시~오후 7시까지 단축운영 되니 미루었다가 뒤늦게 신청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요일 등 대체공휴일을 포함한 공휴일에는 접수가 불가합니다.
- 평일 : 07:00~22:00까지
- 토요일 : 07:00~15:00까지
- 일요일, 공휴일 (대체공휴일 포함) : 신청불가
- 마감일 : 07:00~19:00까지
▶ 자동차 연납신청 방법
자동차세 연납신청은 위택스 회원, 비회원 모두 신청이 가능합니다. 위택스에서 자동차세 연납신청을 하는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택스 로그인(또는 비회원 접속) → 우측상단 전체메뉴 → 부가서비스 → 자동차세 연납신청 → 신청정보 및 차량정보 작성 → 차량정보 검색 → 차량정보 및 자동차 세금 확인 → 환급계좌 입력(선택사항) → 확인
자동차세 연납 신청이 잘 되었는지 확인을 하고 싶다면 아래의 경로로 조회해 봅니다.
- 회원 : 위택스 로그인 → 우측상단 전체메뉴 → 신고하기 → 신고내역 → 지방세 → 조건 설정 후 검색
- 비회원 : 전체메뉴 → 부가서비스 → 자동차세 연납 신청 → 비회원 신고조회 → 주민등록번호/법인번호, 차량번호 입력 후 검색
연납신청 후 즉시납부가 가능하고 납부기한이 지나지 않으면 언제든지 위택스, 이택스(서울시)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지방세 납부를 하면 됩니다. 연납신청 후 미납했다면 6월, 12월에 과세 됩니다.
▶ 서울시 이택스(ETAX) 자동차세 연납신청 바로가기
▶ 서울 외 지역 위택스(WeTAX) 자동차세 연납신청 바로가기
자동차세 신용카드 혜택
자동차세 신용카드 납부 수수료는 없습니다. 자동차세가 지방세이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자동차세 신용카드 실적에도 잡히지 않지만 자동차세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동차세와 같은 지방세(재산세, 취득세 등)를 납부할때도 신용카드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 자동차세 신용카드 무이자
카드사별로 자동차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하면 무이자 할부기간이 상이합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할 세액이 5만원 이상 되어야 합니다.
- 신한카드 : 2~7개월 무이자 할부
- 현대카드 : 2~7개월 무이자 할부
- 우리카드 : 2~7개월 무이자 할부
- 국민카드 : 2~7개월 무이자 할부
- 삼성카드 : 2~6개월 무이자 할부
- 하나카드 : 2~6개월 무이자 할부
- BC카드 : 2~6개월 무이자 할부
- NH농협카드 : 2~6개월 무이자 할부
- 수협카드 : 2~3개월 무이자 할부
자동차세 신용카드 할인
추천드리는 자동차세 신용카드가 2종류가 있습니다. 한가지는 너무 인기가 많아서 출시한지 몇달도 안되어 단종 되었다가 재출시된 신한 더모아카드입니다. 연회비(2만원) 이상으로 포인트를 적립 받아 신용카드 포인트로 취득세, 재산세, 자동차세 등 지방세를 납부할 수 있는 카드로 꼭 만들어 둬야하는 카드입니다. 이 카드가 왜 지방세 납부에 이득인지는 이전에 작성한 글이 있으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인당 2장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 [신한 더모아카드 개꿀! 지방세 납부는 이 카드다.] 이전 글
두번째는 롯데카드입니다. 롯데 올마이DC, 올마이포인트 카드를 발급 받아 지방세(취득세, 재산세, 자동차세)를 납부하면 최대 10만 포인트를 받습니다. 자동차세 결제 후 받은 포인트를 신용카드 대급으로 납부하면 됩니다. 연회비는 카드당 1만 5천원이나 롯대카드를 처음 만든다면 최초에 만드는 카드의 연회비는 면제 됩니다.
- 롯데 올마이디씨 (ALL MY DC)
- 롯데 올마이포인트 (ALL MY POINT)
아래 아파트 취득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하면서 기록했던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카드는 신한 다모아처럼 오래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어서 지방세 신용카드 납부 혜택을 받은 후 해지하면 됩니다. (신한 다모아카드는 유효기간까지 해지하지 않고 사용할 예정)
▶부동산 취득세 무이자 할부 신용카드 포인트 적립 방법
자동차세 신용카드 신세계 상품권
마지막으로 자동차세를 백화점상품권으로 납부하는 방법입니다. 신세계상품권을 7% 할인 구입한 후, 상푸권을 쓱머니로 전환 합니다. 이제 쓱머니를 서울시 이택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마일리지로 전환 후 자동차세를 납부하면 됩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신세계상품권 할인구매
신세계상품권은 구두방이나 백화점상품권 할인 매장에서 구입하는 것보다 SKT vip 고객이라면 이마트 매장 고객센터에서 상품권을 구입하는 것이 더 이득입니다.
Sk텔레콤 vip 고객이 홀수달에 신세계 상품권을 구입하면 최대 7% 할인이 되고 짝수달은 3% 할인구입이 가능합니다. vip고객이 아니더라도 실버이상이라면 매월 3%할인된 가격으로 신세계 상품권 구입이 가능합니다. 꼭 세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이마트에서 장볼때 활용하면 일단 7% 할인 받는 꿀팁입니다.
다만 한번에 할인 구입할 수 있는 상품권은 10만원까지라 지방세 납부 계획이 있다면 매월 구입해서 모아두어야 합니다. 같은 통신사를 쓰는 가족이 있다면 한번에 구입할 수 있는 상품권 금액은 더 높아지겠죠? 아쉬운 점은 T멤버십 바코드가 인증 유효시간이 생겼다는 건데요. 예전에는 T멤버십바코드를 캡쳐해서 가족에게 주면 되었는데 이제는 사용할때마다 가족에게 바코드를 요청하거나 동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쓱머니 자동차세 납부 방법
할인 구입한 신세계상품권을 쓱머니(ssg머니)로 전환합니다. 이제 쓱머니로 자동차세를 납부해보겠습니다.
신세계 상품권 ssg머니는 이택스 앱에서도 가능합니다. 서울시 이택스 앱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로그인 후 마일리지를 클릭한 후 나의 마일리지 관리에서 ssg머니 가져오기를 합니다. (이 페이지에 신한마이포인트도 있습니다. 다모아카드로 모은 신한포인트 사용도 여기서 합니다.) 제공동의 클릭 후 전환할 금액을 입력합니다. 이제 쓱머니 전환이 끝났습니다.
이번에는 전환된 ssg머니로 세금을 납부하러 갑니다. 서울시 이택스 앱에서 세금 납부번호를 입력 조회한 후 ssg머니를 전환한 마일리지로 납부를 하면 자동차세 납부가 완료됩니다. (▶ 서울시 이택스(ETAX) 자동차세 연납신청 바로가기)
정리
위에서 소개한 방법을 차례대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가지만 하는 것이 아니고 아래 방법을 합쳐서 사용하면 지방세 세액공제율을 최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 자동차세 연납 신청 : 10% (1월)
- 신용카드 포인트 납부 : 신한카드 마이신한포인트, 롯데카드 페이백
- 신세계상품권 할인 구입 : SKT 최대 7% (이마트 고객센터 홀수달)
- 신세계 상품권 ssg머니 전환 : SSG 포인트 납부
- 지방세 신용카드 무이자
아래 카카오 뷰 채널에 방문하시면 부동산과 미국주식, 기타 돈 되는 유익한 정보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배너를 클릭하면 바로 이동하고 우측상단에 Ch+를 눌러 새로운 글 받기를 해보세요.
'부동산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희망적금 미리보기 "가입 자격 여부" 확인하기 (0) | 2022.02.08 |
---|---|
주택임대사업자 사업장현황신고 대상, 방법, 신고 후기 (0) | 2022.01.20 |
계약 갱신 청구권 분쟁 조정 포인트 (0) | 2021.12.21 |
국토부 보도자료 주택임대차 분쟁조정 사례집 (0) | 2021.12.21 |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 부동산 앱 추천 (0) | 2021.12.15 |